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멸균 증류수

by 코딩헤븐 2024. 12. 18.

멸균 증류수와 식염수는 의료 및 실험실에서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액체로, 각각의 특성과 용도가 다릅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이 두 물질의 차이를 명확히 설명하겠습니다.

멸균 증류수

멸균 증류수란?

멸균 증류수는 물을 증류하여 만든 순수한 물입니다. 이 과정에서 불순물이 제거되어 전해질이나 미네랄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주로 실험실에서 사용되거나 의료 기기를 세척하는 데 활용되며, 주사제 제조에도 적합합니다. 멸균 증류수는 무균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pH는 약 5.7로 약간 산성을 띱니다.

식염수란?

식염수는 물에 염화나트륨(NaCl)을 특정 농도로 녹인 용액입니다. 일반적으로 0.9% 농도의 생리식염수가 인체의 체액과 유사한 농도로 사용됩니다. 이는 상처 세척, 비강 세척 등 다양한 의료적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식염수는 체액과 비슷한 삼투압을 가지므로, 환자에게 수분을 공급하는 데 유용합니다.

멸균 증류수

주요 차이점

특징 멸균 증류수 식염수
구성 순수한 물 (전해질 없음) 물 + 염화나트륨
pH 약 5.7 (약산성) 중성 (0.9% NaCl 기준)
용도 실험실, 주사제 제조, 기기 세척 상처 세척, 수분 공급, 의료적 용도
무균 상태 유지 여부 항상 무균 상태 유지 필요 멸균식염수와 일반식염수 구분 필요

멸균 증류수는 순수한 물이 필요한 상황에서 적합하며, 식염수는 인체의 체액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해야 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멸균 증류수